Article 2. 빅데이터의 가치 1112

2 minute read

Section 1. 빅데이터 개요 및 활용

Paragraph 1. 빅데이터의 가치

빅데이터를 통해 기업/조직의 불확실성 제거, 리스크 감소, 스마트한 경쟁력, 타 분야 융합으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1. 경제적 자산
    • 새로운 기회 창출, 위험 해결을 통해 사회 및 경제발전에 이바지함
  2. 불확실성 제거
    • 사회현상, 현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패턴 분석과 미래 전망
    • 여러 가지 가능성에 대한 시나리오 시뮬레이션
  3. 리스크 감소
    • 환경, 소셜, 모니터링 정보의 패턴 분석을 통해 위험 징후 및 이상 신호 포착
    • 이슈를 사전에 인지 및 분석하고 빠른 의사 결정과 실시간 대응
  4. 스마트한 경쟁력
    • 상황 인지, 인공지능 서비스 기능
    • 개인화, 지능화 서비스 제공 확대
    • 트렌드 변화 분석을 통한 제품 경쟁력 확보
  5. 타 분야 융합
    • 타 분야와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
    • 새로운 융합시장 창출

Paragraph 2. 빅데이터 가치 산정이 어려윤 이유

데이터 활용 방식, 새로운 가치 창출, 분석기술 발전으로 인해 빅데이터의 가치를 정확하게 산정하기 어려움

  1. 데이터 활용 방식의 다양화

    • 데이터의 재사용, 데이터의 재조합, 다목적용 데이터 개발 등이 일반화되면서 특정 데이터를 언제/어디서/누가 활용할지 알 수 없어서 가치 산정 어려움

    • 데이터의 창의적 조합으로 인해 기존에 풀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가치 산정이 어려움

      구글이 검색 결과를 낼 때마다 구글은 클라우드에 저장된 웹 사이트 정보를 매번 사용

  2. 새로운 가치 창출

    • 빅데이터 시대에 데이터가 기존에 없던 가치를 창출하여 가치 산정이 어려움

      고객의 성향을 분석하여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3. 분석기술의 급속한 발전

    • 비용 문제로 인해 분석할 수 없었던 것을 저렴한 비용으로 분석하면서 활용도가 증가하여 가치 산정이 어려움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SNS 분석

Paragraph 3. 빅데이터 영향

기업, 정부, 개인이 빅데이터로 인해 스마트해지고 있다

  1. 기업
    • 혁신 수단 제공
    • 경쟁력 강화
    • 생산성 향상
  2. 정부
    • 환경 탐색
    • 상황 분석
    • 미래 대응 가능
  3. 개인
    • 목적에 따른 활용

Paragraph 4. 빅데이터 위기 요인 및 통제 방안

  • 빅데이터는 유용한 가치를 주는 동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 빅데이터의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해 위기가 발생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통제 방안이 필요함

Subparagraph 1. 빅데이터 위기요인

  1. 사생활 침해

    • 목적 외로 활용된 개인정보가 포함한 데이터의 경우 사생활 침해를 넘어 사회, 경제적 위협으로 확대
  2. 책임 원칙 훼손

    • 예측 기술과 빅데이터 분석기술의 발전으로 분석 대상이 되는 사람들이 예측 알고리즘의 희생양이 될 가능성 증가
    • 잠재적 위협이 아닌 명확한 결과에 대한 책임을 묻고 있는 민주주의 국가 원리를 훼손할 가능성이 존재
  3. 데이터 오용

    • 데이터 분석은 실제 일어난 일에 대한 데이터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언제나 맞을 수는 없는 오류가 존재
    • 잘못된 지표를 사용하는 것도 빅데이터의 피해가 될 수 있음

Subparagraph 2. 빅데이터 위기 요인에 대한 통제 방안

  1. 알고리즘에 대한 접근 허용

    • 예측 알고리즘의 부당함을 반증할 수 있는 ‘알고리즘에 대한 접근권’을 제공하여 데이터 오용의 위기 요소에 대한 대응
    • 알고리즘을 통해 불이익을 당한 사람들을 대변할 알고리즈미스트라는 전문가 필요
  2. 책임의 강조

    • 빅데이터를 통한 개인정보 침해 문제를 해결을 위해 개인정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책임’을 통해 해결하는 방안 강구
    • 사용자에게 개인정보의 유출 및 동의 없는 사용으로 발생하는 피해에 대해 책임을 지게 함으로써 사용 주체가 적극적인 보호 장치를 강구할 수 있도록 함
  3. 결과 기반의 책임 적용

    • 책임의 강조를 위해서는 기존의 원칙 보강 및 강화와 예측 자료에 의한 불이익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
    • 판단을 근거로 오류가 있는 예측 알고리즘을 통해서는 불이익을 줄 수 없으며 방지를 위한 피해 최소화 장치 마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