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2. 표본추출 2312

1 minute read

Section 1. 기술 통계

Paragraph 1. 표본 추출 기법

표본 추출 기법에는 단순 무작위 추출, 계통 추출, 층화 추출, 군집 추출 기법 등이 있다.

기법 설명 예시
단순 무작위 추출
(Simple Random Sampling)
• 모집단에서 정해진 규칙 없이 표본을 추출하는 방식 100개의 전구에서 무작위로 10개의 전구를 추출
계통 추출
(Systematic Sampling)
• 모집단을 일정한 간격으로 추출하는 방식 100명의 사람에게 번호표를 나눠주고 끝자리가 7로 끝나는 사람들을 선정
층화 추출
(Stratified Random Sampling)
• 모집단을 여러 계층으로 나누고, 계층별로 무작위 추출을 수행하는 방식
• 계층은 내부적으로 동질적이고, 외부적으로 이질적이어야 함
지역별 여론 조사를 위해 조사 지역을 도별로 나누고, 각 도에서 무작위로 100명씩 선정
군집 추출
(Cluster Sampling)
• 모집단을 여러 군집으로 나누고, 일부 군집의 전체 또는 일부를 추출하는 방식
• 계층과는 다르게 군집의 성질은 따로 고려되지 않음
100개의 전구에 무작위로 검은색, 노란색, 파란색을 칠하고 파란색의 전구를 모두 추출

Paragraph 2. 자료 측정(Measurement)

측정하는 행위는 대상의 특정한 속성을 숫자 또는 기호로 표시하는 일이고, 관계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규칙을 척도(Scale)라고 한다.

⬇척도

  1. 질적 속성

    척도 설명 예시
    명목 척도
    (Nominal Scale)
    • 단순히 집단의 분류를 목적으로 사용된 척도
    • 등호 연산(=, ≠)
    이메일 주소, 인터넷 계정, 옷 색깔, 성별
    순서 척도
    (Ordinal Scale)
    • 측정대상 사이의 대소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척도
    • 비교 연산(<, >)
    직급, 영화 평점, 선호도
  2. 양적 속성

    척도 설명 예시
    구간 척도
    (Interval Scale)
    • 등간 척도라고도 하며 서열과 의미 있는 차이를 가지는 척도
    • 가감 연산(+, -)
    온도, 지능지수
    비율 척도
    (Ratio Scale)
    • 구간 척도의 성질을 가지면서 척도 간의 비(ratio)도 의미가 있는 척도
    • 승제 연산(×, ÷)
    질량, 나이, 개수, 길이